티스토리 뷰
대통령 선호도는 7%였다. 2014년에는 박정희 대통령 선호도가 28%로 감소했고, 노무현 대통령은 32%로 증가했으며 당시 재임 중이던 박근혜 대통령은 5%였다. ● 한국인이 좋아하는 기업인: 2004/2014년 이건희, 정주영 → 2019년 정주영(24%), 이건희(15%) 순 - 정주영 선호 2004/2014년보다 상승, 이재용·구광모 등 재벌 3세 경영인 10위 안 첫 포함 한국인이 좋아하는 기업인은(자유응답) 현대그룹 창업자 '정주영'(24%), 삼성전자 회장 '이건희'(15%), 삼성전자
통해 점차 이름을 알렸다. 이후 , (이상 MBC) 등에 게스트로 등장해 독특한 매력을 한껏 발산하며 대세로 등극했다. (MBC) 등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있지만, 유재석·강호동과 달리 정통 코미디 연기도 계속하고 있다. 박나래는 예능 프로그램 주요 수요층인 저연령대 선호도가
필요가 있다. 과거 조사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최불암은 2014년 SBS 드라마 을 끝으로 연기를 중단했지만, KBS1 진행자로 매주 목요일 시청자를 만나고 있다. 김혜자는 올해 초 JTBC 드라마 에서 알츠하이머 환자로 분해 명불허전 연기력을 선보였다. * 최불암, 김혜자, 이순재, 고두심은 고연령일수록 좋아하며, 박보검은 저연령일수록 더 인기다. 한편 남성이 좋아하는
2부작 ‘스탠드업’을 선보인다. 11월 방송 예정인 ‘스탠드업’은 다양한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다채로운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본격 스탠드업 코미디쇼로 웃음부터 감동까지 깊은 의미와 풍자가 담긴 어른들의 코미디를 선사할 예정이라고 해 반가움과 기대를 모으고 있다. 스탠드업 코미디는 무대에서 재치 있는 말로 관객과 소통하며 웃음을 선사하는 희극으로, 그동안 유병재의 ‘블랙코미디’, 박나래의 ‘농염주의보’를 비롯해 많은 개그맨들이 자신의 이름을
높고, 특히 여성에서의 지지가 두텁다. * 1927년생으로 1955년 '창공악극단'으로 데뷔한 희극인 송해는 1980년부터 현재까지 (KBS)의 최장수·최고령 MC로 활동 중이다. 2006년 KBS 아나운서로 입사한 전현무는 2012년 프리랜서 선언 후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왔다. * 2004년 한국인이 좋아하는 코미디언·개그맨으로는 2002년 작고한 '코미디의 황제' 이주일이 1위, 신동엽과 유재석이 바짝 뒤쫓았고 여성으로는 유일하게 김미화가 10위권에 이름을
가장 오래 활동 중인 가수는 이미자다. 1959년 '열아홉순정'으로 데뷔한 그는 세월과 나이를 무색게 하는 목소리로 지금도 전국 순회공연을 하고 있다. * 그 외 1% 이상 응답된 가수는 '남진'(1.8%), '임창정'(1.7%), '송가인'(1.4%), '김건모', '설운도', '진성'(이상 1.2%), '성시경'(1.1%), '거미', '블랙핑크', '잔나비'(이상 1.0%) 등이다.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탤런트는 최불암(5.4%)과 김혜자(4.2%) - 방송사상 최장수 드라마 출연 최불암·김혜자·고두심, 2004/2014/2019년 연속 10위권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남녀 1,700명에게 가장 좋아하는 탤런트를
탤런트 상위 5명은 최불암, 이순재, 송혜교, 최수종, 고두심 순이며, 여성은 김혜자, 박보검, 공유, 최불암, 고두심 순으로 성별 차이를 보였다. * 2011년 데뷔한 박보검 외에는 모두 10년 이상 활동한 중견이다. 그중에서도 이순재(1956년), 김혜자(1963년), 최불암(1967년)은 반세기 넘게 한국인과 함께했고 여전히 현역이다. 또한 이들이 대부분 '시청자들이 믿고 보는 연기력'의 소유자라는 점에서 보편적으로 사랑받는 탤런트의 조건을 가늠할 수 있다. * 최불암, 김혜자,
1~3위는 이건희-정주영-이병철 순이었는데, 이번에는 정주영-이건희-이재용 순으로 바뀌었다. 특히 2001년 작고한 정주영 회장 선호도가 2004년 15%, 2014년 20%, 2019년 24%로 상승해 여전히 그의 리더십을 그리워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 선호도를 보면 정주영은 고연령일수록(10대 8%; 60대+ 36%), 이재용은 10·20대(10%)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은 2014년에 이어 2019년에도 이순신(14%) - 그다음은 세종대왕(11%), 노무현·박정희·김구(이상 5%), 정주영·유관순·김대중·반기문(이상 3%) 순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남녀 1,700명에게 가장
걸고 하는 단독 스탠드업 코미디를 선보이며 큰 화제를 모았다. 코미디계 트렌드 역시 콩트 형식보다는 스탠드업 코미디가 늘어나는 추세다. ‘스탠드업’은 기존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보여줬던 스탠드업 코미디와 달리 코미디언뿐만 아니라 배우, 외국인, 일반인 등 다양한 직업과 사연을 가진 사람들의 의미 있는 이야기를 보여줄 것으로 더욱 기대가 크다. 특히 MC에는 화려한 입담으로 다재다능한 활약을 펼치고 있는 대세 개그우먼 박나래가 출연을 확정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다. 이미지 원본보기 박나래는 그동안 '개그콘서트', '코미디빅리그'
이승엽, '한국인 최초의 메이저리거' 박찬호, 그리고 박지성은 2014년과 2019년에도 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4년 상위 10명 선수 종목은 야구 4명(류현진, 이승엽, 추신수, 박찬호), 축구 3명(박지성, 손흥민, 기성용), 피겨스케이팅(김연아), 리듬체조(손연재), 수영(박태환) 각 1명씩이었는데, 이번에는 축구·야구 각 5명과 피겨스케이팅 1명으로 종목 쏠림이 더해졌다.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 2004년 이미자 → 2014년 조용필 → 2019년